UEFA 유로 2004 예선 1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A 유로 2004 예선 1조는 2004년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의 한 그룹으로, 프랑스가 8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슬로베니아는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이스라엘, 키프로스, 몰타가 그 뒤를 이었다. 조별 리그에서는 각 팀 간의 경기 결과와 득점 선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EFA 유로 2004 예선 - UEFA 유로 2004 예선 2조
UEFA 유로 2004 예선 2조는 덴마크, 노르웨이, 루마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룩셈부르크가 속했으며, 덴마크가 1위로 본선에 진출하고 노르웨이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룩셈부르크는 최하위에 머물렀다. - UEFA 유로 2004 예선 - UEFA 유로 2004 예선 10조
UEFA 유로 2004 예선 10조는 스위스가 1위, 러시아가 2위를 차지하며, 아일랜드, 알바니아, 조지아가 그 뒤를 이었고, 스위스의 알렉산더 프라이가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UEFA 유로 2004 예선 1조 | |
---|---|
대회 요약 | |
참가팀 | 5개국 |
경기장 | 5개 경기장 |
기간 | 2002년 9월 7일 ~ 2003년 10월 11일 |
최종 순위 | |
1위 | 프랑스 |
2위 | 슬로베니아 |
3위 | 이스라엘 |
4위 | 키프로스 |
5위 | 몰타 |
경기 통계 | |
총 득점 | 78골 |
경기당 득점 | 2.6골 |
최다 득점자 | 지네딘 지단 (5골) |
2. 조 순위
UEFA 유로 2004 예선 1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경기 결과
날짜 팀 1 결과 팀 2 경기장 관중 주심 2002년 9월 7일 슬로베니아 3 – 0 몰타 스타디온 베지그라드, 류블랴나 7,000명 요르요스 보로빌로스 (그리스) 2002년 9월 7일 키프로스 1 – 2 프랑스 GSP 스타디움, 니코시아 11,898명 헤르베르트 판델 (독일) 2002년 10월 12일 몰타 0 – 2 이스라엘 타알리 국립경기장, 아타르트 5,200명 세르게이 셰베크 (우크라이나) 2002년 10월 12일 프랑스 5 – 0 슬로베니아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77,619명 킴 밀톤 닐센 (덴마크) 2002년 10월 16일 몰타 0 – 4 프랑스 타알리 국립경기장, 아타르트 10,000명 알렉산드루 투도르 (루마니아) 2002년 11월 20일 키프로스 2 – 1 몰타 GSP 스타디움, 니코시아 5,000명 안톤 게노프 (불가리아) 2003년 3월 29일 프랑스 6 – 0 몰타 스타드 펠릭스 볼라르, 랑스 40,775명 에밀 보지노프스키 (북마케도니아) 2003년 3월 29일 키프로스 1 – 1 이스라엘 치리오 스타디움, 리마솔 9,000명 토머스 매커리 (스코틀랜드) 2003년 4월 2일 슬로베니아 4 – 1 키프로스 스타디온 베지그라드, 류블랴나 5,000명 파울루 마넬 고메스 코스타 (포르투갈) 2003년 4월 2일 이스라엘 1 – 2 프랑스 렌초 바르베라 경기장, 팔레르모 (이탈리아)[2] 2,455명 그레이엄 바버 (잉글랜드) 2003년 4월 30일 이스라엘 2 – 0 키프로스 렌초 바르베라 경기장, 팔레르모 (이탈리아)[2] 300명 미할 베네시 (체코) 2003년 4월 30일 몰타 1 – 3 슬로베니아 타알리 국립경기장, 아타르트 2,500명 허너체크 어틸러 (헝가리) 2003년 6월 7일 몰타 1 – 2 키프로스 타알리 국립경기장, 아타르트 3,000명 베른하르트 브루거 (오스트리아) 2003년 6월 7일 이스라엘 0 – 0 슬로베니아 아타튀르크 경기장, 안탈리아 (터키)[2] 1,800명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2003년 9월 6일 슬로베니아 3 – 1 이스라엘 스타디온 베지그라드, 류블랴나 8,000명 헤르베르트 판델 (독일) 2003년 9월 6일 프랑스 5 – 0 키프로스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45,000명 레슬리 어빈 (스코틀랜드) 2003년 9월 10일 슬로베니아 0 – 2 프랑스 스타디온 베지그라드, 류블랴나 9,500명 도메니코 메시나 (이탈리아) 2003년 9월 10일 이스라엘 2 – 2 몰타 아타튀르크 경기장, 안탈리아 (터키)[2] 1,300명 에리크 블라로 (벨기에) 2003년 10월 11일 프랑스 3 – 0 이스라엘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57,009명 코시모 볼로니노 (이탈리아) 2003년 10월 11일 키프로스 2 – 2 슬로베니아 치리오 스타디움, 리마솔 2,346명 톰 헨닝 외브레뵈 (노르웨이)
경기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3. 1. 2002년 경기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2002년에는 다음과 같은 경기들이 있었다.
일시 | 경기 | 결과 | 경기장 | 관중 | 주심 |
---|---|---|---|---|---|
2002년 9월 7일 | : | 3-0 | 스타디온 베지그라드, 류블랴나 | 7,000명 | 요르요스 보로빌로스 (그리스) |
2002년 9월 7일 | : | 1-2 | GSP 스타디움, 니코시아 | 11,898명 | 헤르베르트 판델 (독일) |
2002년 10월 12일 | : | 0-2 | 타알리 국립경기장, 아타르트 | 5,200명 | 세르게이 셰베크 (우크라이나) |
2002년 10월 12일 | : | 5-0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 77,619명 | 킴 밀톤 닐센 (덴마크) |
2002년 10월 16일 | : | 0-4 | 타알리 국립경기장, 아타르트 | 10,000명 | 알렉산드루 투도르 (루마니아) |
2002년 11월 20일 | : | 2-1 | GSP 스타디움, 니코시아 | 5,000명 | 안톤 게노프 (불가리아) |
- 9월 7일, 슬로베니아는 몰타를 3-0으로 이겼고, 키프로스는 프랑스에 1-2로 졌다.
- 10월 12일, 몰타는 이스라엘에 0-2로 졌고, 프랑스는 슬로베니아를 5-0으로 크게 이겼다.
- 10월 16일, 몰타는 프랑스에 0-4로 패했다.
- 11월 20일, 키프로스는 몰타를 2-1로 이겼다.[2]
3. 1. 1. 9월 7일
2002년 FIFA 월드컵이 끝난 후, 2002년 9월 7일에는 두 경기가 열렸다. 슬로베니아는 류블랴나의 스타디온 베지그라드에서 몰타를 3-0으로 이겼다. 슬로베니아는 데보노의 자책골(37분), 실랴크(59분), 치미로티치(90분)의 득점에 힘입어 승리했다. 같은 날 키프로스는 니코시아의 GSP 스타디움에서 프랑스에 1-2로 패했다. 키프로스는 오카스가 14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프랑스는 시세(39분)와 윌토르(51분)의 연속골로 역전승을 거두었다.[2]3. 1. 2. 10월 12일
Malte프랑스어와 Israel영어의 경기는 2002년 10월 12일 19:00(UTC+2)에 Gżira몰타어의 타알리 국립경기장에서 열렸다. Israel영어이 바랄리와 레비보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2] 관중 수는 5,200명이었고, 주심은 우크라이나의 세르게이 셰베크였다.같은 날 20:45 (UTC+2)에는 프랑스와 슬로베니아의 경기가 생드니의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렸다. 비에라, 말레(2골), 윌토르, 고부의 연속골로 프랑스가 5-0 대승을 거두었다.[2] 관중은 77,619명이 입장했고, 주심은 덴마크의 킴 밀톤 닐센이었다.
3. 1. 3. 10월 16일
몰타와 프랑스의 경기는 2002년 10월 16일 20시 45분(UTC+2)에 타알리 국립경기장(아타르트)에서 열렸다. 티에리 앙리가 25분과 35분에 득점하였고, 실뱅 윌토르가 59분에, 에릭 카리에르가 84분에 추가 득점하여 프랑스가 몰타를 4-0으로 이겼다. 관중 수는 10,000명이었고, 알렉산드루 투도르 (루마니아)가 심판을 맡았다.[2]3. 1. 4. 11월 20일
키프로스와 몰타의 경기는 2002년 11월 20일 니코시아의 GSP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경기 결과는 2-1로 키프로스의 승리였다. 키프로스는 라우프만과 오카스가 각각 50분과 74분에 득점하였고, 몰타는 미프수드가 90분에 득점하였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5,000명이었고, 주심은 안톤 게노프였다.[2]3. 2. 2003년 경기
2003년에는 다음과 같은 경기들이 있었다.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2003년 3월 29일 | 프랑스 | 6 – 0 | 몰타 | 상세 내용 |
2003년 3월 29일 | 키프로스 | 1 – 1 | 이스라엘 | 상세 내용 |
2003년 4월 2일 | 슬로베니아 | 4 – 1 | 키프로스 | 상세 내용 |
2003년 4월 2일 | 이스라엘 | 1 – 2 | 프랑스 | 상세 내용 |
2003년 4월 30일 | 이스라엘 | 2 – 0 | 키프로스 | 상세 내용 |
2003년 4월 30일 | 몰타 | 1 – 3 | 슬로베니아 | 상세 내용 |
2003년 6월 7일 | 몰타 | 1 – 2 | 키프로스 | 상세 내용 |
2003년 6월 7일 | 이스라엘 | 0 – 0 | 슬로베니아 | 상세 내용 |
2003년 9월 6일 | 슬로베니아 | 3 – 1 | 이스라엘 | 상세 내용 |
2003년 9월 6일 | 프랑스 | 5 – 0 | 키프로스 | 상세 내용 |
2003년 9월 10일 | 슬로베니아 | 0 – 2 | 프랑스 | 상세 내용 |
2003년 9월 10일 | 이스라엘 | 2 – 2 | 몰타 | 상세 내용 |
2003년 10월 11일 | 프랑스 | 3 – 0 | 이스라엘 | 상세 내용 |
2003년 10월 11일 | 키프로스 | 2 – 2 | 슬로베니아 | 상세 내용 |
3. 2. 1. 3월 29일
프랑스프랑스어는 2003년 3월 29일에 스타드 펠릭스 볼라르에서 열린 몰타와의 경기에서 6-0으로 승리하였다. 실뱅 윌토르가 전반 3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티에리 앙리가 전반 38분과 후반 9분에 추가골을 넣었다. 지네딘 지단은 후반 12분 페널티킥 골과 후반 35분에 득점을 기록했고, 다비드 트레제게가 후반 25분에 골을 넣었다.[2]같은 날 키프로스는 치리오 스타디움에서 이스라엘과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스라엘의 옴리 아페크가 전반 2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키프로스의 라이네르 라우프만이 후반 16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2]
팀 1 | 팀 2 | 결과 | 날짜 | 시간 | 경기장 | 관중 | 심판 |
---|---|---|---|---|---|---|---|
프랑스 | 몰타 | 6 – 0 | 2003년 3월 29일 | 20:45 UTC+1 | 스타드 펠릭스 볼라르, 랑스 | 40,775명 | 에밀 보지노프스키 (북마케도니아) |
키프로스 | 이스라엘 | 1 – 1 | 2003년 3월 29일 | 19:00 UTC+2 | 치리오 스타디움, 리마솔 | 9,000명 | 토머스 매커리 (스코틀랜드) |
3. 2. 2. 4월 2일
슬로베니아sl는 2003년 4월 2일에 키프로스와의 경기에서 4-1로 승리하였다.[2] 슬로베니아는 실랴크가 전반 4분과 14분에 득점하였고, 자호비치가 전반 38분에 페널티골을, 체흐가 전반 43분에 득점하여 4-0으로 앞서나갔다. 키프로스는 콘스탄티누가 전반 10분에 득점하여 1점을 만회하였으나, 슬로베니아에 대패하였다. 경기는 류블랴나의 스타디온 베지그라드에서 열렸으며, 5,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심판은 포르투갈의 파울루 마넬 고메스 코스타가 맡았다.같은 날, 이스라엘은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하였다.[2] 이스라엘은 아페크가 전반 2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프랑스의 트레제게가 전반 23분에 동점골을, 지단이 전반 추가 시간 1분에 역전골을 넣어 프랑스가 승리하였다. 경기는 이탈리아 팔레르모의 렌초 바르베라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2,455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심판은 잉글랜드의 그레이엄 바버가 맡았다.
3. 2. 3. 4월 30일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
---|---|---|---|---|---|
2003년 4월 30일 | ישראל|이스라엘he | 2 – 0 | Κύπρος|키프로스el | 렌초 바르베라 경기장, 팔레르모 (이탈리아)[2] | 300명 |
2003년 4월 30일 | Malta|몰타몰타어 | 1 – 3 | Slovenija|슬로베니아sl | 타알리 국립경기장, 아타르트 | 2,500명 |
3. 2. 4. 6월 7일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 선수 (팀 1) | 득점 선수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주심 |
---|---|---|---|---|---|---|---|---|
2003년 6월 7일 | 1 – 2 | 디메흐 | 콘스탄티누 , | 타알리 국립경기장, 아타르트 | 3,000명 | 베른하르트 브루거 | ||
2003년 6월 7일 | 0 – 0 | 아타튀르크 경기장, 안탈리아 (터키)[2] | 1,800명 | 마시모 부사카 |
3. 2. 5. 9월 6일
2003년 9월 6일에는 슬로베니아와 이스라엘, 프랑스와 키프로스의 경기가 열렸다. 슬로베니아와 이스라엘의 경기는 류블랴나의 스타디온 베지그라드에서 열렸으며, 슬로베니아가 실랴크(35분), 크나브스(37분), 체흐(78분)의 득점에 힘입어 레비보(69분)가 한 골을 넣은 이스라엘을 3-1로 이겼다. 관중은 8,000명이 입장했고, 헤르베르트 판델 (독일)이 심판을 맡았다.[2]같은 날 생드니의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는 프랑스와 키프로스의 경기가 열렸다. 프랑스는 트레제게(7분, 81분), 윌토르(20분, 41분), 앙리(60분)의 연속 득점으로 키프로스를 5-0으로 크게 이겼다. 이 경기에는 45,000명의 관중이 모였으며, 레슬리 어빈 (북아일랜드)이 심판을 맡았다.
3. 2. 6. 9월 10일
다쿠르바랄리
미프수드
캐러벗